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avascript #event #onclick #js
- 고스트 블로그 #
- 웹페이지제작 #
- #TIL #Today I Learned #기록 #회고 #ternary statement #swich statement #스위치 반복문 #
- 강의 #느낀점 #snowfox #스노우폭스 #김승호회장
- javascript '===' #javascript #TIL #Today I Learned #기록 #회고
- hackerrank #python #algorithm #해커랭크 #파이썬 #알고리즘
- javascript #statement #expression #difference
- TIL #Today I Learned # 기록 # 회고 #Udemy
- 블로그만들기 #웹사이트만들기 #
- 블로그 셀프제작
- Hackerrank #해커랭크 #python #파이썬 #알고리즘 #Algorithm
- TIL #Today I Learned #
- 기록 #회고
-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datatype #데이터타입 #자료형
- 불리언 #Boolean #number #string #symbol #null #undefined
- single source of truth란 #single source of truth #자료의중복 #자료의비정합성 #비정합성 #리팩토링
- Today
- Total
목록TIL : study log (99)
well-balanced

Today I Learned 'Single source of Truth' 의 개념을 간단히 이곳에 정리했다. Http의 메소드(Get, Post, Put, Delete)와 RestAPI의 개념에 대해 배웠다. 'The Complete JavaScript Course 2019: Build Real Projects' 의 'Object를 활용한 코딩챌린지' 를 풀어보았다. Gist Link

Today I learned 간단하게 화살표 함수(Arrow function)에 대해 공부했다. 그러나 좀 더 문법에 익숙해진 후 다시 한번 디테일하게 공부할 것 간단하게 슬랙 봇을 만들고 테스트용 슬랙 채널에 아래와 같이 메세지를 보내보는 작업을 해봤다. 마크다운 문법에 대해 공부하고 이를 이곳에 정리하였다. New information 슬랙봇을 Github에 올려서 버전관리와 배포를 하려고 했으나 url이 노출되면 이를 악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dotenv' 라는 패키지를 설치해서 '.env' 파일에 url을 지정하고, '.gitignore' 를 통해 제외함으로써 나름의 보안 지식(?)을 터득하게 되었다. npm(Node Package Manager)를 설치함으로써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를 가져다 ..

Today I did 최근 프로젝트 그룹을 만들어 스터디까지 병행하고 있다. 따라서 가시적인 공부성과를 보여내기 위해 문서를 정리할 페이지를 만들어야 하는데 우리는 'Notion' 이라는 어플로 페이지를 정리해나가기로 했다. 'Notion' 으로 이것저것 사용해보고 만들어보았다. 사이트 '노마드코더' 에서 'ReactJS로 웹 서비스 만들기' 강의 수강을 시작했다. 앞으로 자바스크립트 강의와 병행해서 진행할 예정이다. Today I learned React 는 가상(Virtual)의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컴포넌트는 프로그래밍의 한 부분을 의미하며 재사용이 가능한 최소 단위를 말한다. 그래서 Java Script와 같은 객체지향언어를 사용할 때 자주 사용되며, 컴포넌트 단위로 분류하거나 ..

Today I learned 'The Complete JavaScript Course 2019: Build Real Projects' 의 'Method' 까지 공부했다. 그리고 Jonas's Course의 강의를 번역해 저번에 헷갈렸던 statement와 expression 파트에 대해 간단하게 이곳에 정리해두었다. New information 배열과 객체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배열에서는 순서가 많이 중요한 반면, 객체에서는 순서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객체를 정의했을 때, objectName.firstName = 'Kim' 혹은 objectName['firstName'] = 'Kim' 과 같이 변수를 정의할 수 있다. 객체를 아래와 같이 정의했을때, 객체 안에서 함수를 정의하려고 할 때, this 라는..

Today I learned'The Complete JavaScript Course 2019: Build Real Projects' 의 Arrays Part와 이를 활용한 Coding challenge까지 공부했다. 배열을 활용해서 알고리즘 문제를 푸니까 제법 많이 도움이 된 거 같다. New informationarrayname.push()로 array에 맨 뒤에서부터 새로운 값을 추가할 수 있다. 값을 삭제하는 것은 arrayname.pop().앞에서부터 추가하는 방법도 존재하는데 arrayname.unshift를 사용하면 맨 앞으로 새로운 값을 추가할 수 있다. 삭제는 arrayname.shift()indexOf를 통해 값을 확인할 수 있다.

Today I learned The Complete JavaScript Course 2019: Build Real Projects! 강의의 Function Statements and Expressions 까지 진도를 나갔다. 다른 부분들은 괜찮았으나 function statement & expression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질 않아서 정보를 좀 찾아가면서 머릿속으로 개념을 잡으려고 노력했다. 어느정도 개념이 잡히긴 했지만 확실히 이해하지는 못했다고 생각한다. 일단 'expression'은 무조건 'value'를 'return' 한다는 것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개념을 보다 더 명확히 잡고, 따로 포스트해서 정리해둘 예정이다. 유튜브에서 '목표를 현실로 만드는 방법 / 스노우폭스 김승호회장 (알면서도..

Today I learned Hackerrank 에서 며칠동안 머리 싸매던 문제를 드디어 풀었다. 내 코드는 Github와 포스트에 올려놨다. The Complete JavaScript Course 2019: Build Real Projects! 코스의 'The Ternary Operator and Switch Statements' 까지 수강하였다. 간단히 '코딩 챌린지' 같은 문제를 풀어보면서 강의를 진행하니까 전혀 지루할 틈이 없다. Boolean logic과 Switch statement, Ternary statement 에 대해서 배웠던 게 가장 흥미로웠다. 아마 빠른 시일내에 지인들과 프로젝트를 진행할 거 같다. 아직 명확한 주제를 정하진 않았지만 모여서든 화상으로든 의논하면서 무언가를 만들어내..

Today I learned 오늘은 'Udemy' 에서 Jonas Schmedtmann의 'The Complete JavaScript Course 2019: Build Real Projects!' Course를 구매해서 If / else Statements 까지 수강했다. Course를 구매하기 전에 아무래도 영어로 된 강의라 청강하는데 좀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줄곧 걱정해왔었는데 그래도 영어 자막이 있어서 걱정했던만큼은 아니였다. 개발 공부를 하면서 영어는 좀 더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왔는데 그래도 오늘 이렇게 한걸음 나아갔다는 게 큰 의미로 다가왔다. 지금은 아직 미숙한 단계라 강의 정보가 많지만 계속 한국어로 된 강의만 듣다보면 언젠가는 발목을 잡을 것이다. 미리미리 익숙해지고 준비해야겠다. ..